디와이 (KOSPI, 013570)
디와이는 시총 2000억 원대의 지주회사로, 디와이의 종속회사로는 디와이이노베이트, 디와이오토, 디와이파워 등이 있다. 특히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디와이오토는 현대차·기아차 등을 주요 고객으로 하며, 자율주행 및 친환경차의 미래차 핵심부품을 개발하는 기업으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디와이오토는 디와이의 100% 자회사로, 현대차와 자율주행 레벨4에 탑재되는 센서 클리닝 시스템을 공동으로 독점개발했다. 한편 현대차가 올 연말 시속 80km까지 작동하는 '레벨3'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한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관련주인 디와이 주가는 상한가(+29.98%)를 기록했다.
디와이 일봉차트
일봉차트를 보면 최근 240일선을 넘어서려는 모습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검은색 원) 처음에는 스치고 내려왔지만 두번째에는 완전히 넘어섰고, 동시에 저점을 점차 높이는 모습이다.(초록색 화살표)
결국 얇은 삼각수렴의 형태가 나타나고, 그 끝에서 전고점을 전부 넘어서는 장대양봉이 나오고 있다. 만일 박스권 상단에서 이평선을 넘어서려는 모습을 보이고, 박스권 하단에서는 저점을 높여간다면 매수 시그널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디와이 주봉차트
주봉차트를 보면 22년 초에 큰 상승이 나온 이후 커다란 산을 만들면서 제자리로 내려오게 되었다. 당시 엄청난 거래량이 실렸던 만큼(초록색 원) 주가를 부양시키려는 세력이 진입했음을 예상할 수 있는데, 정작 22년 말부터는 1년 가까이 박스권 횡보를 보인다.
결국 박스권 상단을 강하게 돌파하면서 다시 기대감을 주는 모습인데, 서서히 우상향이 아니라 거의 수직으로 급등해 버린 만큼 단기 조정의 가능성이 있다. 한편 박스권 흐름에서 기업의 실적이 나쁘지 않고, 호재까지 예상된다면 박스권 하단 매수는 합리적임을 알 수 있다.
디와이 실적
작년 실적(2022년)
- 매출액: 1조 948억
- 영업이익(률): 329억 (3.0%)
- 부채비율: 70.7%
- 당좌비율: 107.8%
- 유보율: 2533.9%
- 배당금: 120원 (2.2%)
올해 실적(2023년)은 매출액은 작년과 비슷하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부채비율이 낮고, 당좌비율·유보율은 높으며, 시총 2000억원이지만 매출은 1조원을 기록하고 있는 점 등은 투자 가치를 높인다.
디와이 투자 전략
디와이의 8/30(수) 거래량은 약 2148만주 정도이며, 이날 하루 거래대금은 무려 1553억원에 달한다. 디와이의 시가총액이 2000억원 수준이므로 하루 시총에 맞먹는 거래대금이 나온 것이다. 심지어 유통주식수는 그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코스피 종목에 꾸준히 배당을 지급하고, 현대차·기아차에 자동차 부품을 납품하고 있기 때문에 자율주행·친환경차 시장 확대와 함께 덩달아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번에 강력한 급등이 나온 만큼 단기조정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좋다.
※ 투자 권유나 종목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자신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