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핀테크 기업, Fintech 의미 뜻 사례, 관련주 카카오페이 페이팔(PYPL)

by 리얼이코노미 2023. 10. 22.
반응형

 

 

핀테크(FinTech)

 

핀테크(FinTech)금융(Finance)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IT 회사들을 중심으로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금융업계 혁신 열풍을 말한다. 모바일, 빅데이터, SNS 등 첨단 정보 기술을 바탕으로 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변화를 통칭하는 표현이기도 하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삼성페이, 애플페이, 카카오페이와 같이 모바일 뱅킹, 앱카드가 주로 해당되며, 단순 결제서비스 외에도 P2P 대출, 주식, 자산관리, 크라우드펀딩, 해외송금 등이 있다. IT기술의 발전과 함께 폭넓게 성장하고 있는 핀테크 업종은 크게 지불·송금, ,차입·대출, 자산관리, 보험, 통화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한편 핀테크는 전자금융보다는 더 넓은 개념이다. 전자금융은 텔레뱅킹(전화), 인터넷뱅킹(PC)을 이용한 금융서비스로 '전통적인 핀테크'라고 볼 수 있으며, PDA가 스마트폰에 흡수당한 것처럼 기존의 전자금융이라는 용어가 핀테크로 흡수되었다.

 

 

핀테크(FinTech) 기업 사례

 

- 간편결제서비스: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애플페이, 토스 페이나우, 페이코 등

- 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 크라우드펀딩: 와디즈, 오픈트레이드 등

- 간편 송금 플랫폼: 토스, 핀크

- 해외송금: 글로벌머니익스프레스, SBI코스머

- 빅데이터부동산분석: 직방, 다방 등

- P2P금융플랫폼: 브이펀딩, 오션펀딩 등

 

 

출처: Slideshare 홈페이지

 

 

한국에서 핀테크 발전

 

한국에서의 핀테크 발전 속도가 미국이나 중국에 비해서 느렸던 이유는

 

(1) 국내 오프라인 은행 서비스의 질이나 속도가 뛰어났기 때문이다. 오프라인 행정이 워낙 발달되어 있고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핀테크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다. 해외 국가에서는 오프라인 은행 서비스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핀테크 도입이나 발전 속도가 빨랐다.

 

 

(2) 정부 규제로 인해 법률 개정에 차질을 빚었다. 타다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혁신적인 무언가가 들어서려고 하면 기존에 입지를 지키고 있던 집단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핀테크에서는 IT 기술이 핵심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이 필요하지만 여러 가지 이해관계로 법률 개정이 늦어지고 기업에서도 특별히 문제를 개선하지 않았다.(ex. 공인인증서)

 

 

(3) 중국의 알리페이는 알리바바와 결합하여 결제시스템을 시작했고, 미국의 페이팔도 이베이에서 시작하여 지금과 같은 규모로 성장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스몰테크에서 시작하여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