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당순자산가치(BPS) 의미
주당순자산가치(BPS)는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다. 여기서 순자산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을 의미한다. 의미를 풀어서 설명하면 주당순자산가치란 기업의 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주었을 때 1주당 얼마씩 배분되는가를 나타내는 값이다. PER과 더불어 기업의 자산 가치를 평가할 때 기초가 되는 지표다.
한편 주당순자산가치 BPS는 영어로 Bookvalue Per Share의 줄임말이다. 여기서 Book은 기업회계에 쓰이는 장부를 의미하며 Bookvalue는 장부에 기재되어 있는 기업의 모든 자산, 자본을 말한다.
주당순자산가치(BPS) 활용방법
일반적으로 주가가 BPS보다 높으면 자산 가치 대비 주식의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주가가 BPS보다 낮으면 자산 가치 대비 주식의 가격이 낮게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비슷한 개념으로 주당순자산비율(PBR)도 있는데, PBR은 주가를 BPS로 나눈 값이다. 만일 주가와 BPS가 동일하다면 PBR은 1이 된다. BPS가 2만원인 회사의 주가가 현재 4만원이라면 PBR은 2가 된다.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가치에 비해 2배만큼 고평가 되었다는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PBS)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장부상 순자산가치를 알려줄 뿐이지 기업의 미래 가치나 수익성을 고려하지 않은 지표다. 따라서 BPS, PBR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투자하는 것인 바람직하지 않다.
주당순자산가치(BPS) 사례
1. 이마트 (KOSPI, 139480)
이마트의 현재 주가는 6만원 후반이다. 5년 차트를 보면 최고 220,000원에서 최근 70,000원 부근까지 많이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마트의 현재 주가를 7만원이라고 했을 때, 만약 이마트의 순자산가치와 현재 주가가 동일한 수준이라면 BPS는 역시 7만원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마트의 현재 BPS는 40만원을 넘어선다. 즉 BPS에 비하면 이마트의 현재 주가는 엄청난 저평가인 것이다. 그러나 자산 가치에 비해 이마트는 수익성이나 성장성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BPS에 비해 주가가 현저히 낮아도 투자가치는 떨어진다.


2. 레인보우로보틱스 (KOSDAQ, 277810)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현재 주가는 13만원 후반이다. 5년 차트를 보면 2~3만원 부근에서 오랜 기간 주가가 머물렀지만 최근 삼성전자의 지분 투자 소식과 함께 주가가 크게 올라선 상황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현재 주가를 14만원이라고 했을 때, 만약 순자산가치와 현재 주가가 동일한 수준이려면 BPS는 역시 14만원이어야 한다.
그러나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현재 BPS는 1만원도 채 되지 않는다. 올해 예상 BPS는 7000원 정도이므로 현재 주가 14만원은 거의 20배에 달한다. 그러니 PBR이 20정도 되는 고평가인 상황이다. 로봇산업은 앞으로 수익성 개선이나 성장이 기대되기 때문에 주당순자산가치가 굉장히 고평가 되어있음에도 주가가 유지되고 있다.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FP배터리 vs NCM배터리, 의미 뜻 차이점, 장단점 비교, CATL 삼성SDI (34) | 2023.10.16 |
---|---|
역래깅 효과 의미 뜻 사례, lagging effect, 래깅 역래깅, 한화솔루션 역래깅 (40) | 2023.10.14 |
부동산PF 뜻 의미 장단점, 프로젝트파이낸싱, Project Financing (44) | 2023.10.13 |
IPO 기업공개 의미 뜻 사례, IPO 상장 장단점, 공모주 청약 (44) | 2023.10.12 |
주당순이익(EPS) 의미 뜻 사례, Earning per share, 주가수익비율(PER), 네이버 SK디스커버리 주가 (38) | 202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