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역래깅 효과 의미 뜻 사례, lagging effect, 래깅 역래깅, 한화솔루션 역래깅

리얼이코노미 2023. 10. 14. 16:50
반응형

 

 

래깅 효과?

 

역래깅 효과를 이해하려면 먼저 래깅 효과를 알아야한다. 래깅효과란 원재료 투입 시차효과를 말한다. 주로 정유사 실적을 말할 때 쓰이는 용어인데, 정유사에서 원유를 구입하여 국내로 들여오는데 1~2개월 시간이 걸리다보니 그 사이에 달라지는 원유가격에 영향을 받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유사에서 원유를 배럴당 50달러에 구입했는데 국내로 들여오는 동안에 원유 가격이 올라서 배럴당 80달러가 되었다면 정유사의 재고자산은 가만히 있어도 30달러가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원재료가 투입되는 시차로 인해 정유사의 마진이 달라지는 것을 '래깅효과'라고 한다.

 

 

반대로 유가가 하락해서 정유사들이 구입가격보다 더 낮아진 가격일 때 원유를 들여오는 경우에는 재고자산 평가손실을 보게 된다. 이처럼 '래깅 효과'는 시차에 따라 자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한편 래깅 효과(lagging effect)에서 lagging이란 뒤떨어지거나 늦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lag에서 온 말이다.

 

 

역래깅 효과?

 

원재료 투입에 따른 시차 효과를 '래깅 효과'라고 한다면 '역래깅 효과'는 시차로 발생한 P, C, Q의 변화로 인해 (주로 P, C) 기업의 이익이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래깅 효과'로 인해 구입할 당시보다 원재료 가격이 하락했다고 해보자. 현재 원재료 가격이 내려갔기 때문에 현재 판매하는 제품의 가격(P)도 하락하게 된다. 그러나 원재료를 구입할 당시에는 더 높은 비용(C)을 이미 지출했기 때문에 이익이 줄어드는 것이다.

 

 

반대로 원재료 가격이 상승했다고 해보자. 원재료 가격이 올라가면서 판매하는 제품의 가격(P)도 상승하게 되었지만, 만일 원재료 가격 인상에도 경기 부진으로 수요가 급감한다면 수익은 커지지 않는다. 그래서 구입할 당시의 원재료 비용(C)이 낮더라도 이익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래깅 효과를 긍정적으로 반영하려면 원가 상승분을 판매가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수요가 감소하더라도 재고자산의 평가손익은 늘어날 것이다.

 

 

역래깅효과 사례

 

일반적으로 기름값이 올라도 주유소는 반드시 가야만 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 수요가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석유제품을 만들어서 판매하는 정유사의 경우는 원유가격이 오르면 정제마진이 증가하기 때문에 대체로 래깅효과가 적용된다.

 

 

LG화학은 3분기 견조한 판매량에도 불구하고, 메탈 가격이 급락하면서 판가 하락과 역래깅 효과로 전기 대비 큰 폭의 수익성 감소가 예상된다. 다만 4분기에는 부정적인 래깅 효과 소멸되면서 실적이 점차 개선될 전망이다.

 

 

한화솔루션도 태양광 부품 래깅 효과 때문에 3분기 부진한 실적이 전망된다. 태양광 사업의 중간재인 모듈, 웨이퍼의 래깅 효과가 발생되는 시점이 늦어지면서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래깅, 역래깅 효과는 원자재 투입 시차 효과가 나타나는 기업에게 큰 영향을 주는 개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