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기업공개 의미 뜻 사례, IPO 상장 장단점, 공모주 청약
IPO (기업공개) 의미
IPO란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로 직역을 하면 '처음으로 대중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공개라고 부르며, 외부 투자자가 공개적으로 주식을 살 수 있도록 기업의 주식을 증권시장에 공식적으로 등록하는 것이다. 기업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되면서 외부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여 지분을 취득할 수 있다. 한편 상장한 기업은 경영 내역을 기준에 맞게 공개해야 한다.
IPO의 장점으로는 대규모 자금 조달 가능, 기업 신뢰도 및 평판 상승, 투자금 회수 등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경영권 분산, 비용 발생, 경영 내역 공개 등이 있다.
IPO 장점
1. 대규모 자금 조달 가능
- 자금 조달은 IPO의 가장 큰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IPO를 하면 기업의 지분을 내주면서 자본금을 얻게 되는데, 그 자본금을 회사 운영 자금으로 사용하게 된다. 특히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면 이자가 발생하지만 IPO를 하면 회사 지분을 대가로 자본금을 받기 때문에 이자 없이 대규모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
2. 기업 신뢰도 및 평판 상승
- 상장심사 과정이 엄격하기 때문에 IPO를 통과했다는 것만으로도 기업의 신뢰도와 평판이 상승한다. 또한 주식시장에 상장하면서 외부 투자자들이 쉽게 접하게 되면서 기업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검증 절차를 거친 만큼 기업의 신용도가 높아지기도 한다.
3. 투자금 회수
- 비상장 주식을 가지고 있던 주주들이 상장을 하면서 자신의 지분을 매각하여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비상장주식은 거래가 적기 때문에 환금성이 낮아 회수가 쉽지 않지만 IPO로 기업 경영이 검증되고 나면 투자금 회수를 위한 주식 거래가 쉬워지게 된다.
IPO 단점
1. 경영권 분산
- 자본금을 받은 대가로 지분을 나눠주고, 외부 투자자들이 자유롭게 지분을 매수할 수 있기 때문에 경영권을 잃어버리거나 여러 곳으로 분산되면서 경영권이 약화될 수 있다. 기업을 경영함에 있어서 지분만큼 의결권을 가지기 때문이다.
2. 비용 발생
- IPO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한다. 증권사를 선임하거나 IPO 흥행을 위해 마케팅을 하거나 각종 절차에서 비용이 발생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있다. 생각보다 시장 반응이 좋지 않아서 상장 철회라도 한다면 비용만 날릴 수도 있다.
3. 경영 내역 공개
- 물론 기업 정보와 경영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투자자에게는 단점이라고 볼 수 없다. 오히려 장점이다. 그러나 회사 입장에서는 경영 내역을 모두 공개하면 기업의 중요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다. 특히 실적 등 공시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적자가 나기라도 한다면 주주들의 항의전화에 시달릴 수 있다.
IPO 사례
예컨대, 이번달 공모주 청약을 앞두고 있는 서울보증보험의 IPO를 보면 지분을 투자자들에게 넘기면서 투자금 회수를 목적으로 한다. 외환위기에 예금보험공사가 자금을 투입하여 최대주주가 되었는데 이제 투자금 회수에 나서는 것이다.
또한 협동로봇 기업인 두산로보틱스도 뜨거운 열기 속에 IPO에 성공했는데, 실적을 열어보면 매년 영업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다만 지금은 적자일지라도 로봇산업이 유망하기 때문에 자본금만 있다면 신사업 투자를 이어나갈 수 있기 때문에 IPO에 나선 것이다.